top of page

BIO

 

김보슬은 동양적 관점에서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연결성을 탐구하며, 현실과 가상, 미디어와 퍼포먼스의 경계를 넘나드는 미디어아티스트이다. 그녀의 예술은 동양 철학에 내재된 전일주의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인간·자연·생명체가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유기적 흐름 속에 존재함을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김보슬은 동양의 원형과 사상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첨단 기술과 매체를 적극적으로 접목함으로써 새로운 감각적 시공간을 창조하고 있다.

 

그녀의 작품은 동양 철학, 신화, 설화 등에서 모티프를 확장하여 기후 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 현대 사회가 직면한 환경적 위기 속에서 미래 생태계와 존재 방식에 대한 사유를 제안한다. 가장 미시적인 생명체에서 거대한 우주에 이르기까지 모든 존재가 순환하며 연결된다는 관점을 중심에 두고, 인간 중심적 세계관을 넘어 비인간 존재와의 공존 가능성을 탐구한다. 이러한 과정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성찰하게 하며, 과학적 데이터와 동양적 사유를 유기적으로 결합해 하나의 정교한 세계관으로 확장된다.

그녀는 애니메이션, AI·XR, 모션캡처, 텔레마틱 퍼포먼스, 메타버스 등 다양한 기술 기반 매체를 융합하여 몰입적이고 다층적인 감각 경험을 형성한다. 그녀의 작업은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해체하고, 물리적 신체와 디지털 존재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새로운 형태의 존재성을 탐구한다. 이러한 실험들은 예술·과학·철학이 맞닿는 지점에서 탄생하며, 단순한 시각적 스펙터클을 넘어 지각과 감각의 확장을 통해 미래 생명과 환경에 대한 사유를 확장한다.

 

김보슬의 작품은 뉴욕 타임스퀘어(2022), 파리 주프랑스문화원(2022-2023), 몬트리올 S.A.T(Society for Arts and Technology,2023) , NFC Lisbon (2025), La MaMa E.T.C(뉴욕 2019), 프라하 쿼드레날레(PQ, 체코, 2011) 등 국제적 무대를 포함해 KIAF(2024), 파라다이스아트랩 (2024), 울산시립미술관(2023), 아트센터 나비(2023), 예술의전당(2015) 등 주요 기관에서 전시 및 상영되며 국제적 관심을 받아왔다. 현재 그녀는 서울예술대학교 디지털아트 전공 부교수로 연구와 창작을 병행하고 있으며,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추구하는 글로벌 플랫폼 CultureHub의 한국 디렉터를 역임하며 다양한 국제 협업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김보슬은 기술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천을 통해 동시대 환경적·철학적 질문을 시각화하며, 인간과 비인간, 현실과 가상, 과거와 미래를 잇는 새로운 예술적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Bosul Kim is a visionary media artist who explores the organic interconnectedness between humans and nature, moving fluidly across the boundaries of reality and the virtual, media and performance. Her work visualizes the idea that humans, nature, and all living beings exist within a single, continuous flow.

Expanding motifs from Eastern philosophy and mythology, Kim’s practice reflects on climate change and rising sea levels, proposing speculative future ecologies and multi-species beings of existence. Her work is grounded in the belief that all beings—from the microscopic to the cosmic—are interconnected through cycles of circulation and transformation. Moving beyond anthropocentric perspectives, she explores possibilities for coexistence with nonhuman entities, merging scientific data with Eastern philosophical thought into an evolving, integrated worldview.

 

Kim employs animation, AI,XR technologies, motion capture, telematic performance, and metaverse-based game art to create immersive, multilayered sensory virtual environments. Her work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the physical and the virtual, investigating new forms of existence that emerge where the human body intersects with digital presence. These experiments arise at the confluence of art, science, and philosophy—expanding perception and sensory awareness while offering speculative insights into future life and environmental futures beyond mere visual spectacle.

 

Her work has been showcased internationally at major venues including Times Square (NYC,2022), Centre Culturel Coréen (Paris, 2022–2023), Society for Arts and Technology (Montreal,2023), NFC (Lisbon, 2025), La MaMa E.T.C. in (NYC,2019), and the Prague Quadrennial (Czech Republic, 2011). In Korea, her projects have been presented at KIAF (2024), Paradise Art Lab (2024), Ulsan Art Museum(2023), Art Center Nabi (2023), and the Seoul Arts Center (2015). 

Kim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of Digital Arts at the Seoul Institute of the Arts, where she continues to pursue both research and creative practice. She previously served as the Korea Director of CultureHub, a global platform dedicated to the convergence of art and technology, leading numerous international collaborative projects. Through her transdisciplinary practice that traverses the boundaries between technology and art, Kim visualizes contemporary ecological and philosophical questions, building a new artistic ecosystem that connects humans and nonhumans, the real and the virtual, and the past and the future.

 

bottom of page